인지적 동기체계의 틀. / 사고방식
목표 설정 과정과 목표 추구 과정에서 일어나는 두가지 사고방식 심사숙고 :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하는 열린 사고방식, 정보들을 고려한 뒤 의사결정 실행 : 의사결정을 먼저한 뒤, 목표달성과 관련된 정보만을 고려하고, 무관한 정보는 무시하는 닫힌 사고방식
목표추구 행동의 지속성에는 실행적 마인드셋을 가진 경우 더욱 높았고, 실제 수행 역시 실행적 마인드셋을 가진 경우 더 높았다.
숙고 마인드셋은 목표 설정단계에서 의미가 있고, 목표 추구 단계에서는 실행 마인드셋이 더 의미가있다.
목표 추구 과정에서의 사람들의 사고방식
향상 : 열정적이고 기동성 있는 행동전략을 채택하고, 이상적 상태에 가까워지도록 향상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예방 : 조심스러운 행동전략을 채택하고, 의무와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초점을 둔다.
이렇게 목표추구 과정의 조절 지향을 구분하는 이론이 조절초점이론이다.
초점유형 | 유발 | 결과 |
---|---|---|
향상초점 | 향상 욕구에 기반/ 이익의 가능성 고려 | 긍정적 결과, 이익에 초점 |
조절초점 | 안정 욕구에 기반/ 손실의 가능성 고려 | 부정적 결과, 손실에 초점 |
초점유형 | 부모의 양육태도 | 문화 |
---|---|---|
향상초점 | 좋은 일이 일어나는 것이 중요한 것 / 용기를 북돋고 자기향상에 초점을 두는 양육 | 향상초점적 문화 |
조절초점 | 나쁜 일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중요한 것 / 비판적, 처벌적 양육 | 예방초점적 문화 |
초점유형 | 성공 | 실패 |
---|---|---|
향상 초점 | 이익 / 좋은일이 일어나는 것 | 이익이 없는 것 |
예방 초점 | 손실이 없는 것/ 만족스런 상태의 유지 | 손실/ 고통스런 변화 |
자신의 사고방식 (조절 유형)에 의존한 의사결정 또는 행동이 옳다고 느껴지는 정도.
조절적합성이 높은 경우 동기의 강도가 증가하고, 주관적 안녕감을 느끼게 된다.
개인의 자질(능력, 성격, 지능, … 등)에 대한 두가지 사고방식
성장 : 개인의 자질이 유연하고, 변화가능하고, 노력을 통해 개발가능하다는 신념
고정 : 개인의 자질이 고정되어 있고, 변화할 수 없다는 신념
성장 마인드셋 | 고정 마인드 셋 |
---|---|
노력은 기술과 능력을 개발하는 도구 | 노력은 능력의 부족을 보여주는 것 |
노력의 효용을 이해 | 적은 노력으로 성공 -> 능력을 증명한 계기 |
도전적 과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함 | 어려움에 직면시 자기 불구화 |
대개 낙관적 귀인 성향 | 대개 비관적 귀인 성향 |
Category | 성장 마인드셋 | 고정 마인드 셋 |
---|---|---|
기원 | 노력을 칭찬, 현상을 노력에 귀인 | 자질을 칭찬, 현상을 자질에 귀인 |
특징 | 똑똑해 보이는 것이 중요한 것 | 중요하고 유용한 뭔가를 배우는것이 중요한 것 |
목표 | 똑똑해보이는 것, 노력없이 능력이 좋아 보이는 것 | 학습과 향상, 새로운것을 배우고 이해하는 것 |
성취목표는 숙달목표(능력의 개발, 발전, 어려움의 극복)와 수행목표(능력의 증명, 능력 과시, 타인보다 뛰어남을 보여주는 것)로 나눌 수 있다.
숙달목표를 채택한 경우, 더욱 효과적인 학습법으로 학습하고, 내적 동기로서 목표 추구를 하며, 활발히 정보 요청한다. 대개 도전적인 과제를 선호한다.
예방초점을 가진 이가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는 경우 수행-회피 목표를 갖게 만들고, 부적응적 대처방식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을 저하할 수 있다.
인간은 누구나 자신이 유능하고, 도덕적이고, 함리적이라는 근보편적인 자기개념을 가지고 있다.
근보편적 자기개념에 일치 : 유능하고, 도덕적이고, 합리적이라는 것을 확증해주는 행동을 추구한다.
즉, 내가 생각하는 ‘나’와 실제의 ‘나’의 불일치가 인지부조화를 일으키고, 이 부조화의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해 새로운 신념을 추가하거나 기존의 신념을 변경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