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의 원인을 구성하는 인지적 과정을 중심으로 동기를 이해하고자 하는 관점. 인지는 목적 지향적인 행위에 에너지와 방향을 부여한다.
8장 목표설정과 목표추구
9장 마음가짐 (mindset)
10장 개인적 통제신념
11장 자기와 자기추구
가 동기에 대한 인지적 관점파트
자신의 행동, 황경, 사건의 이상적 상태 / 현재 상태의 불일치를 지각했을 때 불편감을 느끼게 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계획을 수립한다.
현재상태와 이상적 상태를 비교 -> 이상적 상태로 나아가기 위해 환경을 조작 -> 또 다시 비교 -> 현상태와 이상적 상태의 일치로, 계획 종결
의 상태로 나아가는 모형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현 상태와 이상적 상태의 불일치를 해소하려는 동기. 이상적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행동을 계속하고, 상황이나 개인의 능력에 따라 계획을 수정하는 동기
현상태와 이상적 상태의 차이
불일치의 감소 속도에 따라 다른 정서를 경험하게 된다.
불일치 감소 | 불일치 생성 |
---|---|
계획과 교정 동기의 기저 | 미래의 목표를 설정 |
교정 동기 | 목표 설정 동기 |
결핍 극복 | 성장 추구 |
목표는 성취하고자 노력하는 모든 것을 말하고, 미래에 바라는 결과의 표상이다.
현재와 이상적 수준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행동동기를 생성한다
목표-수행 불일치가 수행을 향상시킨다. 한 실험에서, 목표가 있는 경우 더 수행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 설정은 일반적으로 수행을 증진시키는데, 목표의 난이도/구체성/자기와의 일치도 에 따라 수행 증진의 정도의 차이가 있다.
목표 난이도는 수행에 대한 지속성을 조절하고, 목표 구체성은 행동의 방향을 설정하며, 목표 일치도는 목표의 방향과 지속성모두에 영향을 준다.
즉, 종합적으로 보면 높은 난이도의 구체적이며 자기일치적인 목표가 수행을 향상시킨다.
피드백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물로써 작용하고, 목표 설정을 효과적으로 만든다.
단기목표 : 구체적이고 특정행동으로 표현가능
장기 목표 : 복잡한 구조, 특정행동으로 표현하지 못함.
다양한 단기 목표가 모여 하나의 장기 목표가 된다.
목표설정은 동기의 증진이 아니라 수행의 증진을 불러온다. 따라서 재미없고, 단순한 과제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목표추구 : 목표 설정이 수행의 증진과 목표 달성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목표 추구 과정이 필요하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
시작 -> 지속 -> 재시작의 Cy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