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한 사회적 유인을 지향하도록 하는 지속적이고, 무의식적인 욕구.
암묵적 동기는 무의식적이며, 자기보고방식으로는 측정될 수 없다. 또한, 사람들의 행동과 수행을 예언할 수 있다. 이는 특정한 사회적 유인가를 달성하기 위해 행동을 동기화하는 무의식적이고, 지속적인 욕구 라고 주장함. (McClelland, 1984)
암묵적 동기는 개개인이 다르다.
반대로, 외현적 동기(Explicit Motive)는 사람들의 태도와 가치만 예언할 수 있다.
의식적이고, 쉽게 접근가능하며, 언어적으로 표현될 수 있어 자기보고 질문지로 평가할 수 있다.
유아기와 아동 초기에 사회화 과정을 통해 획득된 욕구는 일생에 걸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 획득된 욕구는 특정한 욕구 관련 유인에 대해 정서반응을 활성화시킨다.
암묵적 욕구는 초기 아동기에 획득된다. 하지만, 무조건적으로 지속되는 것은 아니고, 일생에 걸쳐 변화한다.
이에 대해 McClelland는 부모의 양육방식과 암묵적 동기의 관계를 > 알아보고자 실험을 함.
부모가 높은 기준 부과 => 성취욕구
부모가 사회화 기법으로 칭찬을 주로 사용 => 친애 욕구
부모가 성과 공격성에 관대 => 권력 욕구
와 관련있음을 알게됨.
암묵적 욕구는 사회적 욕구임. 아동기부터 사회적으로 학습한 것이고, 사회적 유인이 있어야만 촉발되는 욕구임.(정서와 행동으로 나타나는)
암묵적 동기를 활성화 시키는 사회적 유인에 따라서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성취 욕구, 친애 욕구, 권력 욕구
사회적 욕구 | 사회적 유인 / 그에 따른 반응 |
---|---|
성취 | 어려운 도전과 즉각적 피드백 / 개인의 유능성을 사회에 알림 |
친애 | 타인의 인정, 타인의 기쁨 / 따뜻하고 안정적 관계를 맺음 |
권력 | 대중의 관심, 타인을 부리는 것 / 대중 앞 연설, 위험감수행동 |
우수성의 기준(개인의 유능감에 대한 도전)과 비교하여, 잘하고자 하는 욕망 OR 경쟁에서 이기고 성공하는 것을 추구하는 욕구
성취욕구의 높고 낮음에 따라 반응잠재기, 노력, 지속성, 책임감 등에 차이를 보인다.
성공에 대한 기대 -> 긍정적 정서 -> 능동적/진취적 접근
실패에 대한 두려움 -> 부정적 정서 -> 수동적/회피적 접근
즉각적인 피드백이 주어지는 도전적 과제를 기회로 여겨 흥미, 즐거움, 각성, 흥분등을 경험한다.
승리, 목표달성을 추구할 때 행복감을 느낀다.
자신을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즐기고, 이끌린다.
Atkinson은, 성취 행동이 (성취욕구 X 성공확률 X 그에따르는 유인가) 에 따라 결정된다는 모형을 제시했다. 또한, 성공에 접근하려는 경향성과 실패를 회피하려는 경향성의 비율에 따라 성취 동기의 강도가 달라지고, 이것이 행위의 반응잠재기, 지속성의 차이를 만들어 낸다고 주장했다.
타인과 긍정적인/정서적인 관계를 형성하거나 유지하려는 욕구
배척에 대한 두려움을 바탕으로 하는 욕구
타인에게 인정(수용)받는 욕구 + 친밀의 욕구
유년기 부모의 방치 -> 성인기의 거부공포, 친화력이 높은 성향으로 성장.
부정적 측면 : 배척에 대한 두려움과 관계에 대한 불안으로 인한 인정욕구
긍정적 측면 : 타인과의 친밀감에서 오는 즐거움으로 인한 친밀욕구
욕구 | 욕구의 발생 | 욕구의 만족 |
---|---|---|
인정 욕구 | 사회적 고립 | 사회적 수용-> 안도감 |
친밀 욕구 | 대인간 따뜻함, 사랑 | 따뜻하고 친밀한 관계를 경험 |
물리적, 사회적 세계가 자신의 이미지나 계획에 동조하도록 만들고자 하는 욕망
타인/집단/세상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통제하고, 영향력을 확장하고자 하는 욕망
지배력, 높은 평판, 사회적 지위를 추구한다.
권력동기에 따른 행동의 결과가 인정받고 칭송받는 것에 대해 깊은 정서적 만족감을 느낀다.
리더가 되고자 하고, 유지하고자 함. 힘을 행사하고, 책임자가 되는 방식으로 타인과 상호작용하려 한다.